모바일로 확인하실 경우 표를 좌우로 움직여 내용을 확인 하실 수 있습니다.
수진본[袖珍本(조선시대)] | 선비들이 외출할 때 가지고 다니면서 공부를 하던 휴대용 소형 책자 | ||
---|---|---|---|
호패[號牌(조선시대)] | 조선시대 16세 이상의 남자가 차고 다니던 신분증명서 | ||
필낭[筆囊(조선시대)] | 조선시대 붓, 종이 등을 넣어 다니던 휴대용 필통 | ||
김세영(金世榮) 태극기(1919년) |
경상북도 영덕군 일대에서 3·1혁명을 주도 할 때 김세영이 사용한 태극기 | ||
일본군 장도[長刀(1940년)] | 일본군용 병기, 일왕이 일본군 장교에게 하사한 긴칼. 고유번호가 46127인 이 칼에 의해 한국인은 일본인의 손에 잔인하게 살해되었다. | ||
남·여 의복 (1910년대) | 3.1혁명 당시의 남·여의복 | ||
3.1혁명 당시 신명학교 학생 교복(1919년) |
|||
독립선언문 LP판 (1960년대) |
3.1혁명 당시 민족대표 33인 가운데 한명이었던 민족운동가 이종일 선생이 낭독한 기미독립선언문과 1960년대 국민운동에 이용된 국민가요가 담긴 LP판, 그리고 이 보급운동 기념식 참석자들의 방명록 | ||
필낭[筆囊(조선시대)] | 붓, 종이 등을 넣어 다니던 휴대용 필통 | ||
서당 | 서당은 대부분 소규모이고 정부의 허가를 받지 않고도 설립할 수 있어 조선 후기에 가장 널리 퍼져 있던 교육기관이었다. 문중이나 마을에서 자제들의 교육을 위해 인근의 학자를 훈장으로 초빙하여 서당을 설치하기도 했으며, 훈장 스스로 서당을 열어 인근 마을의 자제를 가르치기도 했다. 또 몇 개의 문중이 연합하여 서당을 설립하기도 했으며, 이와 반대로 부유한 가정에서 오로지 자기 집안 자제들의 교육을 위해 이름있는 학자를 모셔다 서당을 세우기도 했다. 이러한 성당의 모습을 이곳에서는 재현해 놓고 있다. | ||
초등학교 교실 (1970년대) |
6070세대 분들의 추억을 더듬을 수 있는 작은 공간이 마련되어 있다. 난로 위에 서열별로 도시락을 올려놓았던 기억과 교실에서 자그마한 책, 걸상에 앉아 열심히 공부했던 교실을 재현해 놓은 공간이다. | ||
조선통보[朝鮮通寶(조선전기,중기)] | 상평통보[常平通寶(조선시대)] | 우체통(1920년대) | 참고서(1960~1970년대) |
사진기(1920년대) | 등사기[謄寫機(1900년)] | 의학입문(1820년대) | 개화기 교과서 |
미군정청기 교과서 | 절굿공이 | 청동거울[銅鏡(청동기)] | 활자본(시대미상) |
장기[將棋(시대미상)] | 짚신(조선시대) | 흑립[黑笠, 갓(조선시대)] | 탕건[宕巾(조선시대)] |
나막신(조선시대) | 왜나막신(일제강점기) | 대한제국 동전 | 고려 화폐 |
명도전[明刀錢(춘추전국시대) 等] 등 | 조선은행 백원권 지폐(일제강점기) | 대구 3.1혁명 디오라마 | 절구(1970년대) |
장기 |
계명대학교 동산의료원42601 대구광역시 달서구 달구벌대로 1035
대표전화 : 1577-6622팩스 : 053)258-7130
COPYRIGHT (C) KEIMYUNG UNIVERSITY DONGSAN MEDICAL CENTER. ALL RIGHTS RESERVED.